맨날 말로만 다들 "한국야구 위기에요",,,,,,,,'어른들'이 진짜 문제다

이달 초 열린 U-18 야구월드컵에서 한국은 4위에 그쳤고, 이어 아시아야구선수권(U-23) 대표팀은 슈퍼라운드 진출에 성공했지만, 24일 대만과 예선에서 0-10 콜드패를 당했단다. 아시아 강국을 가리는 무대인데, 한계를 드러낸 셈으로, 국내 프로야구가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쓰며 인기를 구가하는 것과 달리, 아마 무대에서 경쟁력이 점점 사라진단다. 이러다간 성인 대표팀도 경쟁에서 밀린다는데 ‘위기’라는 말이 공허하게 들리지 않는 이유라고.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는데, 대표적으로 대학 진학 과정의 ‘학업 성적 25% 규정’이어서 ‘인(in)서울’ 주요 대학들은 내신 성적을 일정 비율 반영한다. 결과적으로 아무리 야구를 잘해도 ‘공부하는 운동선수’라는 취지 자체는 긍정적인데, 교과 성적이 부족하면 진학이 어렵다. 문제는 ‘휴식 날’이 없다는 것으로 주말에는 주말리그를, 평일에는 오전-오후 내내 수업을 듣고 야간 훈련을 치른다고. 아무리 강철 체력(?)으로 불리는 고교 선수여도, 성장기 선수들이어서 쉬지도 못한 채 운동과 공부를 모두 떠안는다. 현재 고교 야구 지도자들 사이에서 “언론과 회의에서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해도, 위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바뀌지 않는다”는 푸념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명문 고교팀을 제외한 상당수 학교는 자체 야구장을 갖추지 못했기에, 외부 구장을 빌려 쓰는 경우가 많다. 오후 수업을 마치고 나가면 운동 시작 시간이 이미 5시인데, 야간조명 시설이 없어 훈련을 2시간 이상 이행하기 어렵다. 부족한 시간을 메우기 위해 작은 실내 연습장에서 훈련을 이어가지만, 투수·타격 훈련 모두 한계가 뚜렷하단다. 정치권도 문제인데 아이들에게 공부와 운동, 두 가지를 모두 강요하면서 정작 제대로 된 인프라와 제도 개선은 미룬다. 당장 겉으로만 이쁜 그림을 원하는데, ‘한국야구의 미래를 위해서’라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속은 타들어 간다. 이를 왜 모른척하나??? 학습권을 존중하되, 운동권 역시 지켜줄 수 있는 현실적인 해법은 제대로 된 구장, 합리적인 일정이다. 기반을 떠받치는 아마야구는 그대로지만,,,,올시즌 KBO리그는 흥행 대박을 터뜨렸다.